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링겔만 효과(Ringelmann effect)

by 잡인이 2023. 7. 13.
반응형

 

 

링겔만 효과 (Ringelmann effect)

맥시밀리언 링겔만(Maximilien Ringelmann)의 실험에서 비롯된 개념으로, 한 집단의 구성원 증가와 집단의 역량이 비례하지 않는 현상을 일컫는다. 즉, 개인의 역량이 집단의 규모가 커질수록 감소하는 것을 말하는데, 개인의 수가 증가할수록 성과에 대한 개인(1인당)의 공헌도가 현격히 저하되는 현상으로, '시너지 효과'의 반대 개념이다.

 

링겔만은 집단에 속해 있는 개인의 공헌도를 측정해 보기 위해 줄다리기 실험을 실시했다. 실험에 따르면 2명이 속한 그룹에서 한 명이 발휘하는 힘의 크기는 자신의 힘의 93%였지만 3명이 속한 그룹에서 1명이 발휘하는 힘의 크기는 자신의 힘의 85%로 떨어졌다. 이처럼 링겔만은 줄다리기에 참여하는 참가자가 많아질수록 각 개인이 들이는 힘이 줄어드는 것을 발견했다. 이는 개인이 여러 명 중 한 사람에 불과할 때는 자신의 전력을 모두 쏟지 않는다는 것을 나타내는 결과였다.

이 링겔만 효과는 기업경영에서 조직을 구성하는 전략 등에 활용되는데, 예컨대 유능한 인재를 일정 인원 이상 같은 팀에 배치하지 않는 형태나 팀원을 소수로 구성하는 것이 이에 해당한다.

 

 

링겔만 효과의 시작

막시밀리앙 링겔만(Maximilien Ringelmann, 1861-1939)은 프랑스의 농공학자이자 심리학자입니다. 그는 1913년에 줄다리기 실험을 통해 링겔만 효과를 발견했습니다. 링겔만 효과는 집단의 구성원 개개인이 자신들의 집단의 크기가 증가하면서 덜 생산적으로 변화되는 경향을 의미합니다. 링겔만은 링겔만 효과를 발견한 공로로 1927년에 프랑스 과학 아카데미의 회원으로 선정되었습니다.

링겔만은 1861년 프랑스 루앙에서 태어났습니다. 그는 1882년에 루앙 대학교에서 농학 학위를 취득하고, 1885년에는 파리 대학교에서 농공학 박사 학위를 취득했습니다. 1887년부터 1939년까지 프랑스 농업 연구소에서 연구원으로 근무했습니다.

링겔만은 줄다리기 실험을 통해 링겔만 효과를 발견했습니다. 그는 줄다리기 실험에서 참가자가 많을수록 한 사람이 내는 힘의 크기가 줄어드는 것을 발견했습니다. 즉, 1대1 게임에서 1명이 내는 힘을 100으로 가정할 때, 2명이 참가하면 93, 3명일 때는 85, 8명일 때는 49로 떨어진 것입니다. 이러한 효과를 심리학자 링겔만의 이름을 따 링겔만 효과라 부릅니다.

링겔만 효과는 집단 내에서 개인의 가치가 발견되지 못할 때 나타나는 것으로 추측됩니다. 즉, 집단이 너무 커서 개인의 기여가 눈에 띄지 않을 때, 개인은 자신의 노력을 줄이게 된다는 것입니다. 링겔만 효과는 기업, 학교, 군대 등 다양한 조직에서 나타나는 문제로, 조직의 생산성을 저하시키는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링겔만 효과의 원인 / 사례

 

첫째로 집단의 과제에 참여하는 구성원 개인의 성취도 부족에서 비롯될 수 있습니다. 집단의 구성원으로 과제를 수행할 때, 책임이 분산되고 개인의 수행 정도를 파악할 수 없기 때문에 집단 구성원들은 자신의 노력이 결과에 큰 영향을 주지 않는다고 느끼며 노력을 기울이지 않는 것입니다.

 

두 번째로는 집단 구성원별 역할에 대한 효과적인 조율 부족 때문에 발생한다고 합니다. 흔히 팀워크가 부족하다고 말하기도 하는데, 예를 들어 화려한 스타플레이어들로 구성된 팀이 경기에서 패하는 경우를 종종 볼수 있는데, 이는 팀워크가 부족하기 때문에 일어나는 현상입니다. 이와 반대로 유능한 감독과 코치가 무명 선수들을 위주로 구성된 팀을 이끌어 예상치 못하게 좋은 성과를 이끌어 내는 결과도 종종 볼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다양성보다 단일 가치를 추구하는 조직일수록 팀워크의 중요성이 높아진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링겔만 효과를 해결하는 방법

 

링겔만 효과는 집단의 구성원 개개인이 자신들의 집단의 크기가 증가하면서 덜 생산적으로 변화되는 경향을 의미합니다. 링겔만 효과는 다양한 분야에서 나타날 수 있는데, 다음과 같은 사례가 있습니다.

 

 1. 기업에서 팀 프로젝트를 할 때, 팀의 규모가 커질수록 개인의 참여도가 감소하는 현상

 2. 학교에서 수업을 할 때, 학생 수가 많아질수록 학생의 집중도가 감소하는 현상

 3. 군대에서 작전을 수행할 때, 병사 수가 많아질수록 병사의 전투력이 감소하는 현상

 

링겔만 효과는 집단의 구성원 개개인이 자신들의 집단의 크기가 증가하면서 덜 생산적으로 변화되는 경향을 의미합니다. 링겔만 효과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방법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1. 개인의 책임을 명확히 한다.
  2. 개인의 기여를 인정하고 보상한다.
  3. 협력과 소통을 장려한다.
  4. 집단의 규모를 최적화한다.

정확한 개선 방법을 정할 수는 없겠지만, 다수가 참여할 수 있는 제도나 규정, 보상 등을 사용한다면 조직의 생산성을 높이고 효율적인 업무를 수행할 수 있을 것입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