믿음은 목적지에 도달하는 첫 번째 단추이다
- 마크 트웨인 -
플라시보 효과(Placebo Effect)
플라시보 효과(Placebo Effect)란 실제로 특정한 치료 효과를 갖지 않는 약물이나 치료법이 환자에게 효과가 있다고 믿음으로써 실제로 호전되는 현상을 말합니다. 다시 말해, 실제로 어떠한 생리적인 효과도 없는데도 환자의 신약이나 치료법에 대한 기대와 믿음으로 인해 호전이 나타나는 것입니다.
플라시보 효과는 의학 연구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신약이나 치료법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임상시험을 진행할 때, 실제 약물을 투여받는 집단과 플라시보를 투여받는 집단으로 나누어 비교하면서 약물의 실제 효과와 플라시보 효과를 구분하여 연구 결과를 도출할 수 있습니다.
플라시보 효과는 주관적인 증상에 큰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믿음이 치료 효과에 직간접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환자의 기대와 신뢰를 증진시키는 것은 치료 과정에서 매우 중요합니다. 또한 플라시보 효과는 심리적인 요인과 생체 활동의 복잡한 상호작용으로 설명되기 때문에 정확한 메커니즘은 여전히 연구 중인 분야입니다.
플라시보 효과의 태동
플라시보 효과를 처음 주장한 헨리 크냐브(이름: Henry Knowles Beecher)는 1904년 2월 4일에 태어나고, 1976년 7월 25일에 사망한 미국의 의사이자 의학 연구자입니다. 그는 하버드 의대의 교수로서 장기간 동안 의학 연구와 교육 분야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였으며, 특히 의약품과 치료법의 효과에 대한 연구로 유명합니다.
헨리 크냐브는 제2차 세계대전 동안 군 의사로 활동하면서, 부상당한 병사들을 관찰하게 되었습니다. 이때 그는 처음으로 플라시보 효과에 대해 주목하게 되었습니다. 그는 실제로 약물을 투여받지 않았지만, 상태가 호전되는 병사들을 발견하였습니다. 이후 귀환한 후, 그는 플라시보 효과에 대한 연구를 깊이 파고들게 되었습니다.
1955년에 그는 "The Powerful Placebo"라는 논문을 발표하여 플라시보 효과에 대한 철저한 조사와 분석을 제시하였습니다. 이 논문은 의학계에서 큰 반향을 일으키며, 플라시보 효과에 대한 이해와 인식을 크게 증진시키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플라시보 효과의 유래 / 사례
플라시보는 '기쁨을 주다' , '즐겁게 하다'라는 라틴어에서 유래되었습니다.
보통 심리학에서는 고통을 가라앉힌다는 의미로 사용하고 있다고 합니다. 위약효과라고도 하는데 의사가 환자에게 가짜 약을 투여하면서 진짜 약이라고 하면 환자가 좋아질 것이라고 생각하는 믿음으로 인해 병이 호전되기도 한다고 합니다. 주로 제2차 세계대전에서 약이 부족할 때 많이 쓰였다고 합니다.
또한 임상실험의 대조군에서 포도당과 같은 아무 효과가 없는 약 등을 처방 후 먹게하여 병세의 진척도를 확인하거나, 다른 효능의 약을 처방하여 효과가 있다고 믿게 하는 등의 경우가 있었다고 합니다.
오늘날에는 의사와 환자 간의 신뢰를 깨드릴 수 있고 오히려 환자의 건강상태를 악화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기 때문에 플라시보 처방이 금지되어 있습니다. 이는 플라시보 효과가 모든 사람에게 동일한 치료 결과를 기대할 수 없고 의사와 환자 간에 관계와 같은 외부적인 요소도 영향을 많이 주기 때문이다.
플라시보 효과 ≠ 노시보 효과
플라시보와 노시보는 서로 반대되는 의미를 갖는 용어로서 의료 및 심리학 분야에서 사용됩니다.
- 플라시보 (Placebo)
○ 효과없음 : 플라시보는 실제로 어떠한 생리적 효과도 없는 약물이나 치료법을 의미합니다. 환자에게 제공되는 것들은 치료의 일부인 것처럼 속이는 목적으로 사용됩니다.
○ 긍정적 효과 : 플라시보 효과는 실제 약물이나 치료법의 효과와 유사한 양상을 보이는 현상입니다. 환자의 기대와 신뢰에 기인하여 호전된 증상을 경험할 수 있다고 합니다. - 노시보 (Nocebo)
○ 부정적 효과 : 노시보는 실제로 해로운 효과가 없는데도 환자가 그렇게 믿음으로써 발생하는 부정적인 효과를 의미합니다. 즉, 환자의 기대와 믿음에 의하 발생하는 거짓된 부작용이나 악화된 증상을 말합니다.
○예상 효 과 : 노시보 효과는 음성적인 기대와 신뢰에 의해 유발되는 것으로 부정적인 신호가 전달되어 예상되는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믿음의 중요성
플라시보와 노시보는 모두 환자의 기대와 신뢰에 의한 심리적인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는 현상입니다.
긍정적인 효과를 기대하면 호전을 경험하는 반면, 부정적인 효과를 예상하면 부작용이나 악화된 증상을 경험하는 차이를 보입니다. 우리는 수많은 외부 요인들에 영향을 받으면서 살아갑니다. 그중 내가 어떠한 생각과 믿음을 갖느냐에 따라 나아가는 길이 나누어지기도 합니다. 이왕 나아갈 길이라면 선한 믿음, 건전한 믿음, 소신 있는 믿음들로 나아간다면 좀 더 나은 내가 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