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15

링겔만 효과(Ringelmann effect) 링겔만 효과 (Ringelmann effect) 맥시밀리언 링겔만(Maximilien Ringelmann)의 실험에서 비롯된 개념으로, 한 집단의 구성원 증가와 집단의 역량이 비례하지 않는 현상을 일컫는다. 즉, 개인의 역량이 집단의 규모가 커질수록 감소하는 것을 말하는데, 개인의 수가 증가할수록 성과에 대한 개인(1인당)의 공헌도가 현격히 저하되는 현상으로, '시너지 효과'의 반대 개념이다. 링겔만은 집단에 속해 있는 개인의 공헌도를 측정해 보기 위해 줄다리기 실험을 실시했다. 실험에 따르면 2명이 속한 그룹에서 한 명이 발휘하는 힘의 크기는 자신의 힘의 93%였지만 3명이 속한 그룹에서 1명이 발휘하는 힘의 크기는 자신의 힘의 85%로 떨어졌다. 이처럼 링겔만은 줄다리기에 참여하는 참가자가 많아질수록.. 2023. 7. 13.
플라시보 효과 (Placebo Effect) : 믿음의 힘 믿음은 목적지에 도달하는 첫 번째 단추이다 - 마크 트웨인 - 플라시보 효과(Placebo Effect) 플라시보 효과(Placebo Effect)란 실제로 특정한 치료 효과를 갖지 않는 약물이나 치료법이 환자에게 효과가 있다고 믿음으로써 실제로 호전되는 현상을 말합니다. 다시 말해, 실제로 어떠한 생리적인 효과도 없는데도 환자의 신약이나 치료법에 대한 기대와 믿음으로 인해 호전이 나타나는 것입니다. 플라시보 효과는 의학 연구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신약이나 치료법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임상시험을 진행할 때, 실제 약물을 투여받는 집단과 플라시보를 투여받는 집단으로 나누어 비교하면서 약물의 실제 효과와 플라시보 효과를 구분하여 연구 결과를 도출할 수 있습니다. 플라시보 효과는 주관적인 증상에 큰 영.. 2023. 7. 6.
스티그마 효과 (Stigma Effect) : 사회적 낙인 스티그마 효과(Stigma Effect)는 사회심리학에서 사용되는 개념으로, 사회적인 편견이나 부정적인 사회적 평가에 의해 피해자가 경험하는 현상을 말합니다. 스티그마 효과 스티그마 효과는 사회적인 요소에 의해 특정한 개인이나 집단에 대한 부정적인 평가, 비난, 차별, 배척, 격리 등의 현상을 경험할 때 발생할 수 있습니다. 신체적 또는 정신적 특징, 사회적인 소속, 직업, 성적 성향, 인종, 장애 등 여러 가지 이유로 인해 이러한 현상이 형성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신체적인 외모, 청소년기에 경험한 사회적 차별, 정신적인 질환 등이 스티그마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스티그마 효과의 어원과 유래 스티그마는 빨갛게 달군 인두를 가축의 몸에 찍어 소유권을 표시하거나 과거 고대 헬라 사회에서 노예나 죄수.. 2023. 6. 15.
구글 효과 (Google effect) 구글 효과 구글 효과는 구글을 통해 정보를 쉽게 찾을 수 있게 되면서 사람들이 기억력이 나빠지고 사고력이 떨어진다는 주장입니다. 이 주장은 구글을 사용한 후에도 기억을 잘 못하거나, 구글을 사용하지 않으면 정보를 찾을 수 없어 어려움을 겪는다는 사람들의 경험에 근거합니다. 구글 효과에 대한 논문은 아직까지 많지 않습니다. 그러나 몇몇 연구에서는 구글 효과가 실제로 존재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기했습니다. 예를 들어, 2011년 옥스퍼드 대학의 연구에 따르면 구글을 사용한 후에도 기억을 잘 못하는 사람들이 많다는 결과가 나왔습니다. 또한, 2013년 듀크 대학의 연구에 따르면 구글을 사용하지 않으면 정보를 찾을 수 없어 어려움을 겪는 사람들이 많다는 결과가 나왔습니다. 구글 효과가 실제로 존재한다면, 이는.. 2023. 6. 14.
반응형